다음은 파트너 입찰에서 흔히 사용되는 용어입니다. 이 용어집을 사용하여 용어가 무엇을 의미하며 업계 전반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보세요.
AdMob 용어 | AdMob 정의 | 다른 명칭 |
파트너 입찰 |
AdMob 미디에이션이 아닌 미디에이션 플랫폼에서 Google을 입찰 광고 소스로 사용할 수 있는 AdMob 기능입니다. 파트너 입찰은 AdMob의 미디에이션 플랫폼을 사용하지 않는 AdMob 사용자를 위한 기능입니다. AdMob 계정에 파트너 입찰 수요가 Google(Google Ads, Display & Video 360)로 표시됩니다. 서드 파티 미디에이션 플랫폼에는 파트너 입찰 수요가 Google 입찰로 표시됩니다. |
Google 입찰, Google 입찰자 |
예상 수입 |
선택한 기간에 발생한 수입입니다. 이 금액은 예상 금액이므로 월말에 확정되는 최종 수입과 다를 수 있습니다. |
예상 수익, 게시자 수익, 수익, 수입 |
확인된 eCPM |
과거 수익 데이터를 토대로 계산한 평균 eCPM입니다.
서드 파티 광고 소스의 경우 최적화를 사용 설정하면 각 서드 파티 광고 소스에서 이 값을 제공합니다. |
eCPM |
요청 수 |
내 앱 또는 광고 단위에서 광고를 요청한 횟수입니다. 광고가 전혀 반환되지 않은 경우에도 요청으로 집계됩니다. 요청이 연쇄 광고 호출 조정에 있는 광고 소스 두 개 이상에 전달된 경우 요청 1회로만 집계됩니다. |
입찰 요청 수, 시도 횟수 |
경매에 참여한 입찰 수 |
광고 소스에서 제출한 입찰 수입니다. 참고: 제출된 모든 입찰이 입찰 경매에 참여하는 것은 아닙니다. 입찰은 최소 eCPM 또는 광고 형식 유형 등의 입찰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. |
입찰 응답 수, 응답 수 |
경매에 참여한 입찰 비율(%) |
광고 소스의 입찰 제출로 이어진 입찰 요청의 비율입니다. 경매에 참여한 입찰 수를 입찰 요청 수로 나눈 다음 100을 곱해 계산됩니다.
참고: 제출된 모든 입찰이 입찰 경매에 참여하는 것은 아닙니다. 입찰은 최소 eCPM 또는 광고 형식 유형 등의 입찰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. |
입찰 응답률, 응답률, 입찰률 |
게재된 요청 수 |
광고 요청에 응답하여 광고 소스에서 반환한 광고의 수입니다. 게재된 요청 중 일부는 노출로 이어지지 않습니다. 참고: 게재된 요청의 정의는 사용하는 광고 소스의 유형(폭포식 구조 또는 입찰)과 광고 단위 게재 유형(일반 광고 단위 또는 파트너 입찰 광고 단위)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 파트너 입찰 광고 단위의 경우 보고서에서 일치율 감소 및 게재율 증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. 이는 광고 수익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. |
낙찰된 입찰, 게재, 낙찰 |
일치율 |
일치율은 Google의 응답을 받은 광고 요청의 비율입니다. 게재된 요청 수를 요청 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. 게재된 요청 수 / 요청 수 참고: 일치율은 광고 단위 게재 유형(일반 광고 단위 또는 파트너 입찰 광고 단위)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 게재된 요청의 정의가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. 이에 따라 파트너 입찰 광고 단위의 일치율이 낮아질 수 있지만 광고 수익에는 영향이 없습니다. |
입찰 낙찰 비율, 낙찰률, 유효노출률 |
게재율 |
앱에서 사용자에게 게재된 광고의 비율입니다. 다음과 같이 노출수를 게재된 요청 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.
예를 들어 게재된 요청 수가 총 80개이지만 이 중 60개만 앱에 표시된 경우 앱의 게재율은 75%입니다. 참고: 게재율은 광고 단위 게재 유형(일반 광고 단위 또는 파트너 입찰 광고 단위)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 게재된 요청의 정의가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. 이에 따라 파트너 입찰 광고 단위의 게재율이 높아질 수 있지만 광고 수익에는 영향이 없습니다. |
표시율 |